맨위로가기

절대 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대 영도는 섭씨 -273.15°C, 화씨 -459.67°F에 해당하는 온도로,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에너지가 최소 상태일 때를 의미한다. 고전역학에서는 입자의 진동이 멈춘 상태이지만,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 원리로 인해 영점 진동이 존재한다. 열역학 제3법칙에 따라 유한 번의 조작으로 절대 영도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는 초전도 현상, 초유동 현상, 보스-아인슈타인 응축(BEC)과 같은 특이한 현상이 나타난다. 절대 영도 부근에서는 엔트로피가 0으로 정의되며, 깁스 자유 에너지와 엔탈피가 수렴한다. 절대 온도는 켈빈(K)과 랭킨(°R)으로 측정되며, 음의 온도를 가진 계는 양의 온도를 가진 계보다 뜨겁다. 절대 영도에 대한 연구는 로버트 보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기욤 아몽통, 윌리엄 톰슨 켈빈 등에 의해 발전했다. 현재는 레이저 냉각, 증발 냉각 등을 통해 극저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1년에는 38 피코켈빈의 온도가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위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추위 - 한랭전선
    한랭 전선은 찬 공기 덩어리가 따뜻한 공기 덩어리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기온 급강하, 풍향 변화, 악천후를 동반하고, 폐색 전선을 형성하거나 다른 전선으로 재지정되기도 하는 전선이다.
  • 무 (철학) - 무색
    무색은 특정한 색깔이 없는 상태로, 투명, 흰색, 무채색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투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 무 (철학) - 공백 문자
    공백 문자는 단어를 구분하고 텍스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언어와 컴퓨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활용된다.
  • 온도 - 상온
    상온은 분야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라이프 사이언스에서는 20℃, 미생물학에서는 25℃, 일본산업규격에서는 5~35℃, 일본약국방에서는 15~25℃의 온도 범위를 의미한다.
  • 온도 - 퀴리 온도
    퀴리 온도는 강자성체의 자성이 사라지고 상자성으로 변하는 임계 온도를 의미하며, 물질의 종류, 복합 재료, 입자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 가능하고, 정보 저장 매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절대 영도
절대 영도
절대 영도 개념도
절대 영도 개념도
정의열역학적 온도 척도에서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
섭씨 온도-273.15 °C
화씨 온도-459.67 °F
켈빈 온도0 K
랭킨 온도0 °R
역사적 배경1702년 기욤 아몽통이 발견. 열기체의 부피와 온도 사이의 관계에서 처음 개념을 추론.
이론적 중요성모든 입자 운동이 멈추는 상태 (실제로는 양자 역학적 영점 진동으로 인해 불가능)
물리적 의미
입자 운동모든 입자 운동이 최소화되는 상태
엔트로피완벽한 결정 구조에서 엔트로피가 0이 되는 상태
에너지양자 역학적 영점 에너지 존재
도달 가능성
실제 도달실험실에서 극저온 연구를 통해 절대 영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에 도달 가능
한계실제 절대 영도는 도달 불가능. 열역학 제3법칙에 따름
양자 역학적 효과양자 역학적 영점 진동으로 인해 절대 영도에 도달하더라도 모든 입자 운동이 완전히 멈추지 않음.
활용 분야
극저온 연구극저온 물리학 및 초전도체 연구에 활용
보스-아인슈타인 응축특수한 물질 상태 생성 연구
참고
관련 법칙열역학 제3법칙
관련 개념켈빈, 섭씨, 화씨, 랭킨 온도 척도
참고 링크국제단위계(SI) 브로셔
스미소니언 매거진 기사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연구 논문

2. 정의

absolute zero|절대 영도영어섭씨로는 -273.15°C, 화씨로는 약 -273.1°C에 해당한다. 분자 등 어떠한 계를 구성하는 입자의 에너지가 최소 상태일 때를 절대 영도로 정의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1] 1999년도에 로듐을 이용한 냉각기법으로 기록한 온도는 100 피코켈빈이다.[1]

온도물질열진동을 기준으로 정의되므로 하한이 존재한다. 이 하한 온도는 열진동(원자의 진동)이 작아지고 에너지가 최저가 된 상태인 '''절대영도'''이다.[1] 고전역학에서는 에너지가 최저 상태란 원자의 진동이 완전히 멈춘 상태이다.[1] 하지만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 원리 때문에 원자의 진동이 멈추지 않고, 에너지가 최저 상태에서도 영점 진동을 한다.[1]

열역학 제3법칙에 의하면, 어떤 온도(0 K보다 큰 온도)를 가진 물질을 유한 번의 조작으로 절대영도로 이동시킬 수 없다.[1]

3. 특징

절대 영도에서는 모든 입자들이 운동 에너지가 최소인 상태로 축퇴되어 엔트로피는 0으로 정의된다.(열역학 제3법칙) 물리학에서 온도는 엔트로피에너지편미분한 값의 역수로 정의한다. 따라서 미시계에서는 상황에 따라 켈빈 온도가 음수가 될 수 있다. 이때 온도는 절대영도가 가장 낮고, 그 다음이 양의 값을 갖는 온도, 양의 무한대 값을 갖는 온도(음의 무한대 값과 동일), 그리고 음의 값을 갖는 온도 순서이다.

온도물질열진동을 기준으로 정의되므로 하한이 존재하는데, 열진동(원자의 진동)이 작아지고 에너지가 최저가 된 상태가 바로 '''절대영도'''이다. 고전역학에서는 에너지가 최저 상태일 때 원자의 진동이 완전히 멈춘다고 보지만, 양자역학에서는 불확정성 원리 때문에 원자가 영점 진동을 한다.

열역학 제3법칙에 따르면, 0 K보다 큰 온도를 가진 물질을 유한 번의 조작으로 절대영도로 만들 수 없다.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는 더 높은 온도에서 볼 수 없는 현상들이 나타나며, 이를 다루는 분야를 저온물리학이라고 한다.

이상기체의 경우, 상태 방정식에 의해 0K에서 압력 또는 부피가 0이 된다.

3. 1. 초전도 현상

극저온 상태에서는 초전도 현상과 초유동 현상이 나타난다. 초전도(Superconductivity)란 어떤 온도(전이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초유동(superfluidity)은 액체의 점성 저항이 0이 되는 현상으로, 액체 헬륨은 2.2K (약 −271°C) 이하로 냉각시키면 초유동 상태가 된다. 초전도와 초유동은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으로 원자 수준의 미시 세계에서 나타나는 양자 현상이 거시 세계에서 관찰되는 경우이다.

3. 2. 초유동 현상

액체 헬륨은 2.2K (약 -271°C) 이하에서 점성 저항이 0이 되는 초유동 상태가 된다.

3. 3. 상변이

샤를의 법칙에 따르면 온도가 내려갈수록 기체의 부피도 줄어들게 되어 있는데, 이상기체의 경우 절대 영도에 도달하면 부피도 0이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체는 절대 영도 이전에 이미 액화된다. 드라이아이스는 -79°C (이산화탄소는 대기압에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고체가 된다), 산소는 -183°C (액체)와 -218°C (고체), 질소는 -196°C(액체)와 -210°C(고체), 그리고 헬륨은 -269°C(액체)가 상변이 온도이다. 헬륨은 일반적인 대기압에서 고체가 되지 않는 유일한 원소로 알려져 있다.

4. 절대 영도 부근의 열역학

막스 플랑크열역학 제3법칙에 따르면, 완전 결정의 엔트로피는 절대 영도에서 0이 된다.[48] 이는 절대 영도(0 K) 근처에서는 거의 모든 분자 운동이 멈추고, 임의의 단열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Δ''S'')가 0이 되기 때문이다. 이때 순수 물질은 (이상적으로) 구조적 결함이 없는 완전 결정을 형성할 수 있다. 발터 네른스트의 ''열정리''는 임의의 등온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가 ''T'' → 0일 때 0에 접근한다고 주장한다.

: \lim_{T \to 0} \Delta S = 0

이는 완전 결정의 엔트로피가 일정한 값에 접근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단열선은 엔트로피가 일정한 상태이며, 등온선, 등압선과 유사하게 표현된다.

하지만 완전 결정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48] 불완전성, 비정질 물질 포함 등으로 인해 저온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상태로 전이되지 않는다.

데바이 모델에 따르면, 순수 결정의 비열과 엔트로피는 ''T''3에 비례하고, 엔탈피화학 퍼텐셜은 ''T''4에 비례한다.[48] 이 값들은 ''T'' = 0에서 0의 기울기로 접근한다. 아인슈타인 모델도 비열의 감소를 보여준다. 절대 영도에서는 결정뿐 아니라 모든 물질의 비열, 열팽창 계수 등이 사라진다.

깁스 자유 에너지(''G''), 엔탈피(''H''), 엔트로피 변화(ΔS) 관계는 다음과 같다.

: \Delta G = \Delta H - T \Delta S \,

''T''가 감소하면 Δ''G''와 Δ''H''는 서로 접근한다(Δ''S''가 경계). 실험적으로 모든 자발적 과정(화학 반응 포함)은 평형으로 진행될 때 ''G''가 감소한다. Δ''S''나 ''T''가 작으면 Δ''G'' < 0, 즉 Δ''H'' < 0 ( 발열 반응)이 될 수 있다. 그러나 ''T''Δ''S'' 항이 크면 흡열 반응도 자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Δ''G''와 Δ''H''의 도함수 기울기는 ''T'' = 0에서 0으로 수렴한다. 이는 Δ''G''와 Δ''H''가 넓은 온도 범위에서 거의 같음을 의미하며, 톰센과 베르텔로의 "평형 상태는 가장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상태"라는 경험적 원리를 뒷받침한다.

5. 보스-아인슈타인 응축과의 관계

절대 영도보다 몇십억 분의 몇 도 높은 온도에서 루비듐 원자 기체의 속도 분포 데이터. 왼쪽: 보즈-아인슈타인 응축이 나타나기 직전. 가운데: 응축이 나타난 직후. 오른쪽: 추가적인 증발 후, 거의 순수한 응축체 샘플만 남음.


보즈-아인슈타인 응축(BEC)은 외부 포텐셜에 가두어지고 절대 영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로 냉각된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보존의 희박 기체의 물질 상태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많은 수의 보존이 외부 포텐셜의 가장 낮은 양자 상태를 차지하며, 이 시점에서 양자 효과가 거시적 규모에서 명확해진다.[5]

이 물질 상태는 1924년에서 1925년 사이에 사티엔드라 나트 보즈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처음 예측되었다. 보즈는 빛 양자(현재 광자라고 함)의 양자 통계에 관한 논문을 아인슈타인에게 보냈다. 아인슈타인은 감명을 받아 논문을 영어에서 독일어로 번역하여 보즈를 대신하여 ''Zeitschrift für Physik''에 제출했고, 그 논문은 출판되었다. 아인슈타인은 그 후 두 편의 다른 논문에서 보즈의 아이디어를 물질 입자(또는 물질)로 확장했다.[6]

70년 후인 1995년, 에릭 코넬과 칼 위먼은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 NIST-JILA 연구소에서 ()로 냉각된 루비듐 원자 기체를 사용하여 최초의 기체 응축체를 생성했다.[7][8]

2003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연구원들은 나트륨 원자 BEC에서 ()의 온도를 달성했다.[9] 관련 흑체(최대 방출) 파장은 6.4 메가미터로 지구 반지름과 거의 같다.

2021년, 브레멘 대학교 물리학자들은 현재 가장 낮은 온도 기록인 의 온도를 가진 BEC를 달성했다.[44]

6. 절대 온도 척도

절대 온도 또는 열역학적 온도는 관례적으로 켈빈(섭씨 눈금 단위)[1]과 점점 드물어지고 있는 랭킨 눈금(화씨 눈금 단위)으로 측정된다. 절대 온도 측정은 온도 단위의 크기를 지정하는 상수에 의해 고유하게 결정되므로 두 절대 온도의 비율, ''T''₂/''T''₁은 모든 눈금에서 동일하다. 이 표준에 대한 가장 명확한 정의는 맥스웰-볼츠만 분포에서 나온다. 이는 페르미-디랙 통계(반정수 스핀을 가진 입자의 경우)와 보즈-아인슈타인 통계(정수 스핀을 가진 입자의 경우)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 모든 경우는 계 내 입자의 상대적인 수를 에너지(입자 수준)에 대한 지수 함수의 감소 함수로 ''kT''에 따라 정의한다. 여기서 ''k''는 볼츠만 상수를, ''T''는 거시적 수준에서 관찰되는 온도를 나타낸다.

7. 음의 온도

섭씨나 화씨 눈금에서 음수로 표현되는 온도는 단순히 해당 눈금의 영점보다 차가운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특정 계는 진정한 음의 온도를 달성할 수 있다. 즉, 그들의 열역학적 온도(켈빈으로 표현)가 음수가 될 수 있다. 진정한 음의 온도를 가진 계는 절대 영도보다 차갑지 않다. 오히려 음의 온도를 가진 계는 양의 온도를 가진 어떤 계보다 뜨겁다. 음의 온도 계와 양의 온도 계가 접촉하면 열이 음의 온도 계에서 양의 온도 계로 이동하기 때문이다.[10]

대부분의 익숙한 계는 에너지를 더하면 항상 엔트로피가 증가하기 때문에 음의 온도를 달성할 수 없다. 하지만 일부 계는 가질 수 있는 에너지의 최대량이 있으며, 그 최대 에너지에 접근함에 따라 엔트로피가 실제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온도는 에너지와 엔트로피의 관계에 의해 정의되므로, 이러한 계의 온도는 에너지가 추가되더라도 음수가 된다.[10] 결과적으로, 음의 온도를 가진 계의 상태에 대한 볼츠만 인자는 상태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대신 증가한다. 따라서 전자기 모드를 포함한 완전한 계는 음의 온도를 가질 수 없다.

하지만 준평형 계(예: 전자기장과 평형을 이루지 않은 스핀)의 경우 이러한 주장은 적용되지 않으며 음의 유효 온도를 달성할 수 있다.

2013년 1월 3일, 물리학자들은 운동 자유도에서 음의 온도를 가진 칼륨 원자로 구성된 양자 기체를 최초로 생성했다고 발표했다.[11]

8. 역사

로버트 보일(Robert Boyle)은 절대 최저 온도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다. 1665년 저서 ''냉기에 대한 새로운 실험과 관찰(New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touching Cold)''에서 ''프리뭄 프리지둠(primum frigidum)'' 논쟁을 명확히 했다.[12] 당시 자연주의자들은 절대 최저 온도가 지구, 물, 공기, 초석(nitre) 중 어디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쟁했지만, "그 자체로 최고로 차갑고, 다른 모든 물체가 그 특성을 얻는 데 참여하는 어떤 물체가 있다"는 데는 동의했다.[13]

로버트 보일


1703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기욤 아몽통은 공기 온도계 개량과 관련하여 최저 온도의 한계와 영점 위치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그는 공기의 압력("탄성")이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공기의 탄성이 0이 되는 온도를 온도계의 영점으로 주장했다.[14] 그는 물의 끓는점을 +73, 얼음의 녹는점을 +로 표시하는 눈금을 사용했는데, 이는 섭씨 약 -240°C에 해당했다.[15] 아몽통은 절대 영도에 도달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명시적으로 계산하지 않았다.[16] 1740년 조지 마틴은 -240°C 또는 "얼음의 어는점보다 431도(화씨 온도계 기준) 낮은 온도"라는 값을 발표했다.[17]

1779년 요한 하인리히 람베르트는 를 절대 영도로 간주할 수 있다고 관찰하여, 현대적인 값인 -273.15°C[1]에 근접하게 개선했다.[18] 그러나 이 값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780년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와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물의 어는점보다 1,500~3,000도 낮은 값을 제시했고, 존 돌턴은 -3,000°C를 온도의 자연 영점으로 채택했다.

1787년부터 1802년까지 자크 샤를, 존 돌턴,[19]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20]은 샤를의 법칙을 통해 기체의 온도가 약 −273°C로 냉각되면 부피가 0에 도달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했다.

제임스 프레스콧 줄이 열의 일당량을 측정한 후, 윌리엄 톰슨(켈빈 경)은 1848년에 특정 물질의 성질과 무관한 절대 온도 눈금을 고안했다. 이는 니콜라 레옹 사디 카르노의 열의 동력 이론과 앙리 빅토르 르뇨의 자료를 기반으로 했으며,[21] 영점은 −273 °C로, 공기 온도계의 영점과 거의 일치했다.[15] 그러나 이 값은 즉시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20세기 초까지 에서 사이의 값들이 사용되었다.[22]

라이덴 기념비


이론적 이해가 높아지면서 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절대 영도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23] 1845년 마이클 패러데이는 에 도달하며 최저 온도 기록을 경신했지만, 산소, 질소, 수소와 같은 기체는 액화될 수 없다고 믿었다.[24] 1873년 요하네스 디데릭 반데르발스는 이러한 기체들이 매우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액화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1877년 루이 폴 카이예테와 라울 픽테는 에서 액체 공기 방울을 생성했고, 1883년 지그문트 브워블레프스키와 카롤 올셰프스키가 에서 액체 산소를 생산했다.

제임스 듀워와 하이케 카메를링 오너스는 수소헬륨 액화에 도전했다. 1898년 듀워는 에 도달하며 수소를 액화했고, 1908년 카메를링 오너스는 햄프슨-린데 순환을 사용하여 헬륨을 액화하고 까지 온도를 낮췄다. 액체 헬륨의 압력을 줄여 1.5 K 근처의 더 낮은 온도를 달성한 그는 1913년 노벨상을 수상했다.[25] 카메를링 오너스는 절대 영도 근처에서 재료의 특성을 연구하여 초전도체와 초유체를 최초로 설명했다.

기욤 아몽통은 온도계 연구 중 기체의 온도와 압력 관계를 조사하여 압력이 0이 되는 -240 ℃를 추정했다. 그는 압력이 음수 값을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온도의 하한이 있다고 생각했다. 후에 자크 샤를과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이 샤를의 법칙을 통해 절대영도가 -273 ℃임을 밝혔다.[45]

1935년, 기노시타 마사오(木下正雄)와 오이시 지로(大石二郎)는 기체 온도계를 사용하여 절대영도가 -273.15℃에서 -273.16℃ 사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1938년에는 더 정밀한 등온선법을 개발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1954년, 제4회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등온선법의 장점이 인정되어, -273.15℃가 절대영도로 정해졌다(물의 삼중점이 273.16켈빈(K)이라는 값으로 정의. 물의 삼중점은 섭씨 0.01℃이며, 0.01 - 273.16 = -273.15).[46][47]

9. 극저온 연구

섭씨 -273.15°C, 화씨 -459.67°F에 해당하는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 상태에서는 초전도 현상과 초유동 현상이 나타난다.[48] 이러한 극저온 연구를 위해 과학자들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해왔다.

레이저 냉각은 10억 분의 1 켈빈 미만의 온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31] 그 외에도 증발 냉각, 극저온 냉각기, 희석 냉장고,[30] 핵 단열 감자를 사용하여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1999년 로듐을 이용한 냉각 기법으로 100 피코켈빈(pK)의 온도가 기록되었다.[48] 2000년 11월, 헬싱키 공과대학교 저온 연구소의 실험에서는 100 pK 미만의 핵 스핀 온도가 보고되었으나, 이는 특정 자유도의 온도였고 전체 평균 열역학적 온도는 아니었다.[32][33] 2021년에는 루비듐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의 물질파 렌즈를 통해 38 피코켈빈의 효과적인 온도가 기록되었다.[44]

2015년 6월, MIT의 실험 물리학자들은 나트륨 칼륨 기체의 분자를 500 나노켈빈의 온도로 냉각했으며, 이 분자들을 더 냉각하여 물질의 이국적인 상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40]

참조

[1] 웹사이트 SI Brochure: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 9th edition (updated in 2022) https://www.bipm.org[...] BIPM 2022-09-07
[2] 서적 Thermodynamic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3] 웹사이트 Absolute Zero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Institution 2008-01-01
[4] 논문 A general deriv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third law of thermodynamics 2017-03-14
[5] 논문 Dynamics of collapsing and exploding Bose–Einstein condensates
[6] 서적 Einstein: The Life and Times Avon Books
[7] 웹사이트 Cornell, Ketterle, and Wieman Share Nobel Prize for Bose–Einstein Condensates http://www.physicsto[...] Physics Today online
[8] 웹사이트 New State of Matter Seen Near Absolute Zero http://physics.nist.[...] NIST
[9] 논문 Cooling Bose–Einstein Condensates Below 500 Picokelvin http://www.dsf.unica[...]
[10] 웹사이트 Below Absolute Zero -What Does Negative Temperature Mean? http://www.phys.ncku[...]
[11] 논문 Quantum gas goes below absolute zero
[12] 서적 The Stanford Dictionary of Anglicised Words and Phrases https://books.google[...]
[13] 서적 New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touching Cold
[14] 논문 Le thermomètre rèduit à une mesure fixe & certaine, & le moyen d'y rapporter les observations faites avec les anciens Thermométres https://www.biodiver[...] 1703-04-18
[15] 백과사전
[16] 논문 Antecedents of thermodynamics in the work of Guillaume Amontons 1972
[17] 서적 Essays Medical and Philosophical A. Millar 1740
[18] 서적 Pyrometrie
[19] 간행물 Essay II. On the force of steam or vapour from water and various other liquids, both in vacuum and in air and Essay IV. On the expansion of elastic fluids by heat https://books.google[...]
[20] 논문 Recherches sur la dilatation des gaz et des vapeurs http://web.lemoyne.e[...]
[21] 논문 On an Absolute Thermometric Scale founded on Carnot's Theory of the Motive Power of Heat, and calculated from Regnault's observations. https://www.biodiver[...] 1848
[22] 서적 A Compendium of Spherical Astronomy The Macmillan Company 1906
[23] 웹사이트 ABSOLUTE ZERO – PBS NOVA DOCUMENTARY (full length) https://www.youtube.[...] 2016-11-23
[24] 웹사이트 Cryogenics http://www.sciencecl[...] 2012-07-22
[2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13: Heike Kamerlingh Onne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2-04-24
[26] 웹사이트 Coldest Place in the Universe 1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9-24
[27] 웹사이트 What's the temperature of space? http://www.straightd[...] The Straight Dope 2012-09-24
[28] 논문 The building blocks of the universe 2021-08-25
[29] 뉴스 History of temperature changes in the Universe revealed—First measurement using the Sunyaev-Zeldovich effect https://www.ipmu.jp/[...] 2020-11-10
[30] 논문 Development of Dilution refrigerators – A review
[31] 웹사이트 Cosmos Online – Verging on absolute zero http://www.cosmosmag[...] 2008-09-04
[32] 서적 Nuclear Magnetism and Superconductivity in Rhodium http://www.hut.fi/Yk[...]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2008-02-11
[33] 보도자료 Low Temperature World Record http://ltl.hut.fi/Lo[...] Low Temperature Laboratory, Teknillinen Korkeakoulu 2000-12-08
[34] 학술지 The Boomerang Nebula: The Coldest Region of the Universe?
[35] 웹사이트 Mysterious Sedna https://science.nasa[...] 2022-11-25
[36] 웹사이트 Scientific Perspectives for ESA's Future Programme in Life and Physical sciences in Space http://www.esf.org/f[...] 2014-03-28
[37] 웹사이트 Atomic Quantum Sensors in Space http://www.physics.u[...]
[38] 웹사이트 Atoms Reach Record Temperature, Colder than Absolute Zero http://www.livescien[...] 2013-01-03
[39] 뉴스 CUORE: The Coldest Heart in the Known Universe. http://www.interacti[...] INFN Press Release 2014-10-21
[40] 웹사이트 MIT team creates ultracold molecules https://newsoffice.m[...] 2015-06-10
[41] 뉴스 Coolest science ever headed to the space station https://www.science.[...] 2017-09-24
[42] 웹사이트 Cold Atom Laboratory Mission https://web.archive.[...] NASA 2017-12-22
[43] 웹사이트 Cold Atom Laboratory Creates Atomic Dance https://web.archive.[...] 2015-05-21
[44] 논문 Collective-Mode Enhanced Matter-Wave Optics https://link.aps.org[...] 2021-08-30
[45] 서적 メンデルスゾーン/大島 1971
[46] 웹사이트 <絶対零度=-273.15度>への挑戦 https://www.titech.a[...] 2023-04-24
[47] 논문 絶対零度の決定に挑んだ日本の科学者 https://doi.org/10.1[...] 日本熱測定学会 2023-05-10
[48] 웹인용 과학동아 3월 기사 http://science.donga[...] 2013-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